▣ 분양면적(공급면적) 전용면적+공용면적+(전유면적-전용면적)
▣ 전유면적= 분양(공급) 면적-공용면적
▣ 전용면적= 분양(공급) 면적-공용면적-(전유면적-전용면적)
전유면적은 집합건물을 구분 소유권자의 배타적 지배권이 미치는 면적으로
전용면적에 서비스 면적인 베란다 면적을 합친 뜻으로 이해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주차장. 엘리베이터. 계단 등은 배타적 지배권이 미치지 않는 부분이니
공유면적으로 하나 베란다는 배타적 사용이 가능하니 전유면적에 포함되는 것이죠
▣ 전용면적이란 거주자가 집 안에서 이용하는 공간의 넓이를 이야기 한다.
예를들어 침실·주방·화장실·현관·거실과 같이 거주자가 실제 사용하는 면적을 전용면적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발코니는 전용면적에 포함되지 않다.
그리고 전용면적은 아파트 내부 벽을 기준으로 측정되며 거주자가 생활하는 데 쓰이는 공간면적을 나타내므로
실면적이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공용면적은 공용으로 여러 사람들과 함께 쓰는 공간의 면적을 말한다.
공용면적은 크게 주거공용면적과 기타공용면적으로 구분하며
세부적으로 주거 공용면적은 아파트 엘리베이터, 계단 등을 말하며
기타 공용면적에는 지하층·관리사무소·노인정 등 이 해당된다.
■공급 면적은 전용면적에다 주거 공용면적을 합친 면적을 말한다.
보통 집이 몇평이냐고 물어보면 공급 면적을 물어보는 거라고 보면 된다.
또한 집을 보러 가면 면적에 비해 집의 크기가 작게 느껴지것을 경험한 바 있으실듯 한데 이러한 이유는 공급면적이 전용면적에 주거공용면적을 합친 값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집이 상대적으로 작아 보인다. 그리고 공급면적에서 전용면적이 차지하는 비중(전용률)은 일반적으로 75~80%이며 주상복합은 주거 공용면적이 넓어 소비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공간인 전용면적이 상대적으로 아파트보다 적은것이 특징이다.
건설사는 공급면적 기준으로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의 3.3㎡(1평)당 가격을 표기하는데 분양가와 실제 분양가에서 꽤 큰 차이가 벌어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보면 되겠다.
업계가 평당가격이 너무 높아지는 전용면적이 아니라 공급면적으로 표기하면서 분양가가 낮아 보이는 효과를 얻을수 있기 때문입니다.
'건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반 건축물 등에 대한 조치 등 / 공사중지 / 이행강제금/ 건축법 (0) | 2022.08.10 |
---|---|
녹색건축 인증, 건축물에너지효율 비용부담은 누가하나? (0) | 2022.08.09 |
위반 건축물 대한 조치에 관한 내용 / 건축법 (0) | 2022.08.06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 / 준공도서 / 재산세 취득세 감면 / 녹색건축인증 (0) | 2022.08.05 |
교통영향평가 결과 이행 / 도시교통정비지역 / 교통권역 이란?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0) | 2022.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