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조달청 나라장터 입찰 참여 방법 완전정복!

+ 입찰보증금 개념까지 한방에 정리 🔍

 

공공기관에 납품하거나 공사를 맡고 싶다면,
나라장터 입찰은 반드시 거쳐야 할 첫 관문!

그런데 처음 접하면 용어도 복잡하고
클릭해야 할 것도 많고,
무엇보다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지?” 싶은 마음 굴뚝같죠.

그래서 오늘은 입찰 참여 방법부터 입찰보증금까지
완전히 초보 기준으로 설명드릴게요.

✅ 나라장터 입찰 참여, 어떻게 시작할까?

1. G2B(나라장터) 회원가입 & 인증서 등록

  • 나라장터 주소: www.g2b.go.kr
  • 사업자용 공인인증서 필요 (대표자 또는 직원 명의)
  • 회원가입 후 '전자입찰 이용자 등록'까지 해야 입찰 가능!

2. 입찰참가자격 등록

  • 조달청에 '조달업체 등록' 필요
  • 입찰참가자격 등록신청서, 사업자등록증, 면허증(공사업체) 등 서류 제출
  • 📌 참고: 지방청에서 심사, 1~2일 소요

3. 입찰공고 확인

  • 나라장터 메인화면 > 입찰정보 > 입찰공고
  • 품목명, 계약방법, 납품지역, 공사기간, 예가 등 확인

4. 입찰참여 & 투찰

  • 공고 확인 후 '참가신청' → '투찰' 순으로 진행
  • 공고마다 투찰기한이 있으니 놓치면 아웃!

 

💰 입찰보증금? 이게 뭔데요?

자, 여기서 가장 많이 헷갈리는 개념!

"입찰보증금은 왜 내야 하죠?"

👉 입찰보증금이란?

입찰 참가자가 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튀는(?) 경우에 대비해
발주처가 일정 금액을 담보로 잡는 제도

입찰보증금의 종류는?

구분설명
현금 납부 실제로 보증금을 계좌이체
이행보증보험증권 제출 보험사에서 발급받아 제출 (보통 이 방식)
전자입찰 보증서 나라장터에 등록된 전자보증서 제출 (가장 일반적)

보증금 금액은?

  • 보통 입찰금액의 5% 이상
  • 입찰공고문에 정확히 명시되어 있으니 꼭 확인!

📌 유의사항

  • 계약체결을 거부하면 보증금 몰수
  • 공급계약 불이행, 납품기한 위반 시도도 마찬가지!

🧾 전자입찰에서 꼭 체크해야 할 것들!

투찰 마감 시간
→ 초 단위로 마감되니, 미리미리 준비!

공고문 세부 조건
→ 납품 기한, 기술조건, 납품장소 꼭 체크

기술/가격 분리 평가 공고는?
→ 제안서 제출 후, 기술평가 통과해야 가격 투찰 가능

PQ심사 필요 여부
→ 일정 금액 이상의 공사·용역은 PQ(Pree-Qualification) 심사 필요


✨ 마무리 꿀팁

  • 처음이면 조달청 나라장터 교육센터 영상 꼭 시청!
  • 이행보증보험은 미리 준비해두면 급할 때 도움됨
  • 납품 가능 품목은 “물품목록” 등록 필수!
  • 계약 후엔 계약이행보증금, 하자보증금도 따로 있음 (계속해서 보증이 따라다녀요…😅)

📎 참고 링크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