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이야기

기초 및 토공사 물량산출 수량산출 기준

Opera Q 2022. 9. 22. 16:00
728x90
반응형

기초 및 토공사


 2.1 건축공사에 있어서 토공사의 범위는 건물의 기초 또는 지하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흙을 파내고 지반을 안정케하는 토공사외에 부지 내 정리, 절토, 성토, 위해방지시설 등 범위까지 포함한다.

 2.2 터파기 (M3)
      2.2.1 구분은 기계터파기 와 인력터파기를 가장 많이 쓰임.
      2.2.2  독립기초
   공식:V=1/3H(A1+A2+                       
          V=1/6H{(2A+A')B+(2A'+A)B'}             
  <주의> 위의 공식은 건물이 

                     
      2.2.3  줄기초
                공식:(웟변+밑변)*0.5*높이*길이
 

 2.3 되메우기 (M3)
      2.3.1 지반선 이하의 터파기총량 - 지반선 이하에 포설되는 지정,버림,구체량
      <참고터파기 여유폭   

1)흙막이가 있는 경우

 높이(H) 터파기 폭(D)
 5.0M 이하 60~90CM
5.0M 이상 90~120CM

2)흙막이가 없는 경우

높이(H) 터파기폭(D)
1.0M 이하 20CM
2.0M 이하 30CM
4.0M 이하 50CM
4.0M 이상 60CM

     2.3.2 구분-인력되메우기, 기계사용 되메우기

2.4 잔토처리 (M3)
     2.4.1 지하구체공사를 위한 터파기 흙을 이동시키는 공정
     2.4.2 현장내 야적(되메우기량,성토량 고려) 장외반출(운반거리고려,되메우기량 고려)
     2.4.3 공식 : 터파기량 - 되메우기량
     2.4.4 토량환산계수는 보통토사 기준으로 1.15 곱한다.
  
2.5 잡석지정 (M2)
     2.5.1 설계도면에 특별한 명기가 없을때는 목조,조적조 기초외측면에서 10CM,
             철근콘크리트 기초는 외측면에서 15CM를 가산한 면적으로 산출함
     2.5.2 공식: 포설바닥면적(기초면적+여유폭) * 포설두께 
     2.5.3 사춤용 자갈은 총괄집계표에서 별도로 잡석M30.3M3 자갈포함.

2.6 버림콘크리트 (M3)
     2.6.1 버림콘크리트는 잡석바닥면적에 두께를 곱하여 체적을 산출(도면에 표기가 없으면 6CM 로 한다.)
     2.6.2 버림은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레미콘 , 레미콘타설/버림 등으로 산출시에는 토공사에서는 산출안함.
             (주공) 25-160-8 도면에 특별한 표기가 없는한 적용함.
     2.6.3 잡석지정에서 설계도서상의 특기에 없는한 ,조적조 10CM,철근콘크리트조 기초측면은 15CM를 가산하여 잡석지정의 폭으로 한다.

2.7 P.E 필름깔기 (M2)
     2.7.1 버림면적을 그대로 적용.주로 현장에서는 일반적으로 0.03T 2겹를 많이 사용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