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장공사 물량산출 수량산출 기준
미장공사
9.1 건축마감공사의 내용의 건식화와 미장공의 질저하 등으로 점차 건식화 경향이지만
미장공사 그자체가 마무리가 되는 공정이면서, 내외장 재료의 바탕이 되기도 하며,
시공부위별, 모르타르두께별, 시공바탕별 등으로 세분되므로 설계도서를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수집누락, 집계의 착오 등을 일으키기 쉬우며, 공사비 비중도 큰
공정이며 미장공의 기술여하에 따라 건물의 질이 판단되기도 하는 주요한 공정이다.
9.2 모르타르, 회반죽, 순석고 플라스터
1) 바탕별구분 - 콘크리트 및 블록, 벽돌바탕, 나무쫄대바탕
2) 위치별구분 - 바닥, 걸레받이, 벽, 천장, 외벽
3) 바름층구분 - 초벌, 재벌, 정벌, 바닥고르기
4) 재료배합구분별 - 1:2, 1:3
5) 바름두께별구분 - 시방서 및 설계도에 표시된 두께별로 구분
6) 기타구분 - ㄱ) 외벽은 3개층 단위로 구분하여 산출 품이증가
ㄴ) 바탕폭이 30CM (걸레받이, 계단 등)
구분산출 - 품 30% 증가됨.
ㄷ) 원주 바름면일 때 구분 산출 - 품30%증가
9.3 모르타르 배합표
배합용적비 | 시멘트(KG) | 모레(M3) | 인부(인) | 사용처 |
1:1 | 1,093 | 0.78 | 1.0 | 치장줄눈, 방수 및 중요한 개소 |
1:2 | 680 | 0.98 | 1.0 | 미장용 마감바르기 및 중요한 개소 |
1:3 | 510 | 1.10 | 1.0 | 미장용 마감바르기, 쌓기줄눈 |
1:4 | 385 | 1.10 | 0.9 | 미장용 초벌바르기 |
1:5 | 320 | 1.15 | 0.9 | 중요하지 아니한 개소 |
9.4 시멘트, 모레량 산출은 모르타르 배합표에 의거하며 모르타르 배합표에 의거하며
모르타르 바름 면적 수량에 바닥은 5%, 벽천장은 15%를 더한 수량으로 모래, 시멘트량
을 산출 한다
9.5 적용기준
9.5.1 바닥
바닥면적은 정미면적으로 하고, 위생, 전기기구의 부착면적은 감하지 않는다.
마감이 2종일 때는 각각의 물량을 산출한다.콘크리트바닥에 아스타일깔기,
비닐카펫트깔기, MDF 걸레받이 붙이기는 마감몰탈을 산출한다.
9.5.2 내벽
벽높이는 돌림띠는 무시하고 천장고에서 바닥 마감재 높이를 뺀 것으로한다.
벽길이는 구체 안목치수로 한다.
창호 개구부는 창호면적으로 한다.
9.5.3 보
보높이는 반자돌림을 무시한 천장까지의 높이로 한다.
보의 길이는 콘크리트면 사이의 유효치수로 한다.
9.5.4 기둥
기둥높이는 벽높이 산출과 동일하다.
기둥에 접한 보의 면적은 원칙적으로 감한다.
기둥면적은 기둥수평치수 2*(A+B)*H 로 산출한다.
* 상기기술한 것은 일부기준만 발췌해서 올린것이다.
9.6 공 산출기준을 발췌해 놓은 것이고 가장 중요한 것이 해당설계도서와
시방서를 잘습득 하여 적산하는데 적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누락이되면
설계사무소나 의뢰처에 문의하여서 해결하고 그럴 수가 없을 때에는 일반적인 기준을
적용한는 것이다.
적산실무자는 도면에 표현대는 대로 산출하는 것이지 자기주관대로 산출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일이다.
물론 적산조건이 열악하고 시간이 없는 관계로 도면미비로 어쩔 수없이 산출하는
경우는 있으나 이걸 어떠한 경우나 적용하는 것은 지양해야될것이다.
9.7 바닥 15~24T 내벽 18T 천장 15T 외벽 24T를 표준으로 한다.(품셈기준)
9.8 쇠흙손마감(M2)
별도마감이 필요없을 때 쇠흙손 끝내기의 품이다.
9.9 모르터충진
9.9.1 주각모르터충진(M2)
철골공사, 공장, 대규모건물의 주요기둥 특수모르터 충진시
배합비 1:2 기준으로 시멘트와 모레를 산출함.
시멘트-무수축시멘트
9.9.2 창문틀주위 충진몰탈(M)
창호주위에 양면으로 계산함.
9.10 콘크리트면처리(M2)
노출콘크리트라고 나온 부분을 산출해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