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이야기
한국건설기술인협회 "초급 중급 고급" 구분표와 계산기로 계산하는 법
Opera Q
2022. 9. 14. 17:41
728x90
반응형
건설회사 근무하는 기술인들이라면 한국건설기술인협회에 기술인수첩을 등록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기술인이라면 관심을 두고있는 기술인 등급이 어떻게 산정되는지 어떻게 계산이 되는지 알고싶을것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알아보았다.
실업계 고등학교 토목과 졸업 / 건축도장기능사 / 품질관리(품질관리) / 920일 근무 = 건축초급달성
위와 같은 조건에 중급이 되려면 5820일 근무하면 중급을 달성 할 수 있다.
전문대학 2년제 관련학과 졸업 / 건축도장기능사 / 품질관리(품질관리) / 440일 근무 = 건축초급달성
위와 같은 조건에 중급이 되려면 2790일 근무하면 중급을 달성 할 수 있다.
대학교 4년제 관련학과 졸업 / 건축도장기능사 / 품질관리(품질관리) / 100일 근무 = 건축초급달성
위와 같은 조건에 중급이 되려면 2310일 근무하면 중급을 달성 할 수 있다.
물론 위와같은 조건과 다르게 여기에 가점사항으로 교육점수가 들어가면 근무일수가 확 줄어들 수 있다.
여기에 기능사가 아닌, 산업기사를 취득하면 근무일수가 필요없이 바로 건축 초급을 달성할 수 있으며 자격증과 학교, 교육 등 가점사항이 있으니 계산기를 두들겨보면 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 건설기술인 역량지수별 등급 구분표
구분 | 설계·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인 |
건설사업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인 |
품질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인 |
특급 | 75점 이상 | 80점 이상 | 75점 이상 |
고급 | 65점 이상 ∼ 75점 미만 | 70점 이상 ∼ 80점 미만 | 65점 이상 ∼ 75점 미만 |
중급 | 55점 이상 ∼ 65점 미만 | 60점 이상 ∼ 70점 미만 | 55점 이상 ∼ 65점 미만 |
초급 | 35점 이상 ∼ 55점 미만 | 40점 이상 ∼ 60점 미만 | 35점 이상 ∼ 55점 미만 |
한국건설기술인협회에 접속을 하면
궂이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아래와같이 계산기를 볼 수 있다.
▣ 한국건설기술인협회 계산기로 계산하는 법
https://homenet.kocea.or.kr:1443/home/info/engmgr/carInf_gongji_201803_01.do
건설기술인이 실제 건설관련업무를 수행한 직무분야가 국가자격 취득 종목의 직무분야 및 졸업하거나
이수한 학과의 직무분야가 다른 경우에는 실제 건설관련업무를 수행한 직무분야의 역량지수가 35점 이상
(건설사업관리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인은 40점)인 경우 초급으로 인정하며 승급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건설기술인 등급 인정 및 교육훈련 등에 관한 기준(국토교통부 고시)별표3 제1호 비고3)
반응형